한국인 최초이자 아시아 여성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소설가 한강. <br /> <br />지금 현재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기자회견을 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한강] <br />환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다시 이렇게 스톡홀름에 오게 되어서 너무 반갑고 기쁩니다. <br /> <br />지난 며칠 동안 아마 많은 한국 분들이 그랬을 텐데 충격도 많이 받았고 아직도 굉장히 많은 상황이 빠르게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계속 뉴스를 보면서 지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아까 제가 잠깐 짧게 말씀드렸는데 저의 생각을 잠깐 정리해서 말씀을 드린 다음에 지금 하신 질문에 답을 하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그날 밤에 아마 모두들 그러셨을 것처럼 저도 충격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소년이 온다를 쓰기 위해서 79년 말부터 진행되었던 계엄 상황에 대해서 공부를 했었는데요. <br /> <br />2024년에 다시 계엄 상황이 전개되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2024년 겨울의 상황이 다른 점은 모든 상황이 다 생중계가 되어서 모든 사람이 지켜볼 수 있었다는 점이었다고 생각이 됩니다. <br /> <br />저도 그 모습들을 지켜보았는데 맨몸으로 장갑차 앞에서 멈추려고 애를 쓰셨던 분들도 보았고 그리고 맨손으로 무장한 군인들을 껴안으면서 제지하려고 하는 모습들도 보았고 또 총을 들고 다가오는 군인들 앞에서 버텨보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모습도 보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마지막에 군인들이 물러갈 때는 잘 가라고 마치 아들들한테 하듯이 그렇게 소리치는 모습도 보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분들의 진심과 용기가 느껴졌던 순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여러 분들이 느끼셨을 것 같은데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뭔가 판단을 하려고 하고 어떤 내적 충돌을 느끼면서 최대한 소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어요. <br /> <br />그런 명령을 내린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소극적인 것이었겠지만 보편적인 가치의 관점에서 본다면 생각하고 판단하고 고통을 느끼면서 해결책을 찾으려고 했던 적극적인 행위였다고 생각이 됩니다. <br /> <br />바라건대 무력이나 강압으로 언론을 막는 그런 방식으로 통제를 하는 과거의 상황으로 돌아가지 않길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문학의 역할에 대해서 물어보셨는데 문학이라는 것은 끊임없이 타인의 내면으로 들어가고 또 그러는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을 깊게 파고들어가는 그런 행위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그런 행위들을 반복하면서 내적인 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120621042628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